맨위로가기

사라 올굿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라 올굿은 아일랜드 출신의 배우로, 1880년 더블린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애비 극장에서 연기 경력을 시작하여 아일랜드 국립 극단 협회의 창립 멤버로 활동했으며, 레이디 그레고리의 '소문 퍼뜨리기' 초연에서 주요 역할을 맡았다. 1915년에는 '내 마음의 페그'에서 주연을 맡았고, 1918년에는 무성 영화 'Just Peggy'에 출연했다. 올굿은 알프레드 히치콕의 초기 영화와 '찻잔 속의 폭풍'에도 출연했으며, 1941년 영화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1940년 할리우드에 정착하여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으며, 1950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여자 연극 배우 - 모린 오하라
    아일랜드 출신 배우 모린 오하라는 193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며 《자메이카 여관》, 《노트르담의 꼽추》, 《리오 그란데》, 《침묵의 사나이》, 《페어런트 트랩》 등에 출연, "테크니컬러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강인하고 독립적인 여성 캐릭터를 연기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고 아카데미 명예상을 수상했다.
  • 아일랜드의 여자 연극 배우 - 제럴딘 피츠제럴드
    제럴딘 피츠제럴드는 아일랜드 출신 배우로, 영화 《폭풍의 언덕》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으며, 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영화, 연극, 텔레비전에서 활동하다 91세에 사망했다.
  • 아일랜드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베네딕트 앤더슨
    베네딕트 앤더슨은 민족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준 아일랜드계 영국인 학자이자 저술가로, 그의 저서 『상상된 공동체』에서 제시한 '상상된 공동체' 개념은 민족주의를 인쇄 자본주의와 연결하여 분석하며 널리 인용되고, 동남아시아 정치와 문화를 연구하며 반제국주의적 시각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저술 활동을 했다.
  • 아일랜드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모린 오하라
    아일랜드 출신 배우 모린 오하라는 193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며 《자메이카 여관》, 《노트르담의 꼽추》, 《리오 그란데》, 《침묵의 사나이》, 《페어런트 트랩》 등에 출연, "테크니컬러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강인하고 독립적인 여성 캐릭터를 연기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고 아카데미 명예상을 수상했다.
  • 아일랜드의 여자 영화 배우 - 대니엘 라이언
    아일랜드 배우이자 제작자, 사업가, 자선가인 대니엘 라이언은 라이언에어 설립자 토니 라이언의 손녀로, 연극, 영화, 텔레비전에서 활동하며 영화 출연 및 제작 참여, ROADS 브랜드를 통한 사업 운영, 교육 및 청소년 지원 자선 활동, 리어 아카데미 설립 기여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 아일랜드의 여자 영화 배우 - 커트리나 밸프
    커트리나 밸프는 모델로 경력을 시작하여 배우로 활동하며, 드라마 《아웃랜더》에서 클레어 프레이저 역으로 호평을 받았고 영화 《벨파스트》에도 출연했으며 자선 활동도 활발히 한다.
사라 올굿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사라 올굿, 1912년경
올굿, 1912년경
본명사라 엘렌 올굿
출생일1880년 10월 30일
출생지더블린, 아일랜드
사망일1950년 9월 13일
사망지우들랜드힐스, 캘리포니아, 미국
안장 장소홀리 크로스 공동묘지, 컬버 시티, 캘리포니아
직업배우
활동 기간1918년–1950년
배우자제럴드 헨슨 (1916년 결혼, 1918년 사별)
자녀1명
친척메어리 오닐 (자매)

2. 초기 생애

사라 올굿은 1880년 10월 30일 당시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일부였던 더블린 미들 애비 스트리트 45번지에서 태어났다.[2] 아버지는 조판공 조지 올굿, 어머니는 마가렛(결혼 전 성은 해럴드)이다.[2] 어머니는 가톨릭 신자였고, 아버지는 개신교 신자였다.[9][3] 1880년 11월 3일 가톨릭 세례와 1880년 11월 21일 아일랜드 교회(성공회) 세례를 받았다.[4]

형제는 7명이 있었으며, 그 중 한 명은 배우 메어 오닐이었으나, 나중에 사이가 멀어졌다.[5] 다른 형제 톰은 로마 가톨릭 사제가 되어 "빈센트 신부"라는 종교명을 사용했다.[5]

어린 시절 아버지의 사망 후, 어머니는 가구 상인으로 다시 일했다. 올굿은 프렌치 폴리쉬 견습생으로 일하면서, 더블린 배첼러 워크의 전시장에서 고급 골동품과 현대 가구를 판매하고, 캐비닛 제작, 가구 제작, 감정, 부동산 중개, 경매도 하는 곳에서 일했다.[9]

3. 경력

올굿은 모드 곤과 윌리엄 페이의 지도 아래 아일랜드 민족주의 단체인 아일랜드의 딸들에 합류하여 처음으로 연극을 공부했다.[5] 그녀는 애비 극장에서 연기 경력을 시작하여 아일랜드 국립 극단 협회의 창립 멤버였다. 1904년 12월 레이디 그레고리의 ''소문 퍼뜨리기'' 초연에서 첫 주요 역할을 맡았다.[5] 1905년까지 전업 배우가 되어 잉글랜드와 북미를 순회 공연했다.

1915년 애비 극장 투어에서 올굿이 ''Cathleen ni Houlihan''에서 주연을 맡아 그린 파스텔 그림


1915년, 올굿은 J. 하틀리 매너스의 코미디 ''내 마음의 페그''에서 주연을 맡았으며, 1916년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순회 공연을 했다. J. A. 립만의 1918년 무성 영화 ''Just Peggy''에서 ''내 마음의 페그'' 공동 출연자이자 당시 남편이었던 제럴드 헨슨과 함께 주연을 맡았으며, 이 영화는 시드니에서 촬영되었다. 헨슨의 사망과 아일랜드로의 귀환 후, 그녀는 애비 극장에서 계속 공연했다. 1923-24년에 예술 봉사 연맹 순회 극단과 함께 투어를 했다.[6] 1923년 숀 오케이시의 ''주노와 공작''에서의 공연은 그녀의 가장 기억에 남는 공연 중 하나였다. 1926년 오케이시의 ''쟁기와 별''에서 베시 버지스 역을 맡아 런던에서 찬사를 받았다.

올굿은 초기 히치콕 영화, 예를 들어 ''블랙메일''(1929), ''주노와 공작''(1930), ''사보타지''(1936)에 자주 출연했다.[7][8] 그녀는 ''찻잔 속의 폭풍''(1937)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미국에서 많은 성공적인 연극 투어를 마친 후, 그녀는 영화 경력을 추구했다. 그녀는 1941년 영화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에서 베스 모건 역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그녀는 1941년의 리메이크작 ''지킬 박사와 하이드'', ''플랫부시에서 생긴 일''(1942), ''제인 에어''(1943), ''더 로저''(1944), ''왕국의 열쇠''(1944), ''나선 계단''(1946), ''The Fabulous Dorseys''(1947), 그리고 오리지널 ''열두 명의 웬수들''(1950)에서 기억에 남는 역할을 했다.

3. 1. 연극 경력

올굿은 모드 곤과 윌리엄 페이의 지도 아래 아일랜드 민족주의 단체인 아일랜드의 딸들에 합류하여 처음으로 연극을 공부했다.[5] 그녀는 애비 극장에서 연기 경력을 시작하여 아일랜드 국립 극단 협회의 창립 멤버였다. 1904년 12월 레이디 그레고리의 ''소문 퍼뜨리기'' 초연에서 첫 주요 역할을 맡았다.[5] 1905년까지 전업 배우가 되어 잉글랜드와 북미를 순회 공연했다.

1915년, 올굿은 J. 하틀리 매너스의 코미디 ''내 마음의 페그''에서 주연을 맡았으며, 1916년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순회 공연을 했다. J. A. 립만의 1918년 무성 영화 ''Just Peggy''에서 ''내 마음의 페그'' 공동 출연자이자 당시 남편이었던 제럴드 헨슨과 함께 주연을 맡았으며, 이 영화는 시드니에서 촬영되었다. 헨슨의 사망과 아일랜드로의 귀환 후, 그녀는 애비 극장에서 계속 공연했다. 1923-24년에 예술 봉사 연맹 순회 극단과 함께 투어를 했다.[6] 1923년 숀 오케이시의 ''주노와 공작''에서의 공연은 그녀의 가장 기억에 남는 공연 중 하나였다. 1926년 오케이시의 ''쟁기와 별''에서 베시 버지스 역을 맡아 런던에서 찬사를 받았다.

3. 2. 영화 경력

올굿은 초기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영화에 자주 출연했는데, 협박(1929년), 주노와 공작(1930년), 사보타주(1936년) 등이 있다.[7][8] 또한 찻잔 속의 폭풍(1937년)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미국에서 여러 차례 연극 순회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올굿은 영화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1941년 영화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에서 베스 모건 역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5] 1941년 리메이크된 지킬 박사와 하이드에서는 해밀턴 부인에서 캐도건-리온 부인 역을 맡았다.

제인 에어 (1944년)에서는 베시 역을 맡았고, 왕국의 열쇠 (1944년)와 더 로저 (1944년)에도 출연했다. 클루니 브라운 (1946년)에서는 메일 부인 역을 맡았고, 나선 계단 (1946년)에도 출연하였다. 더 패블러스 도르시스 (1947년)와 마이 와일드 아이리시 로즈 (1947년)에도 출연했다.

3. 3. 주요 출연작

1911년 J. M. 케리건과 함께 있는 올굿

  • ''저스트 페기''(Just Peggy, 1918) - 페기
  • ''블랙메일''(Blackmail, 1929) - 화이트 부인
  • ''토 왓 레드 헬''(To What Red Hell, 1929)
  • ''주노 앤 더 페이콕''(Juno and the Paycock, 1930) - 보일 부인 ('주노')
  • ''더 월드, 더 플레시, 더 데블''(The World, the Flesh, the Devil, 1932) - 엠마 스탠저
  • ''더 포추네이트 풀''(The Fortunate Fool, 1933) - 로즈
  • ''킬라니의 릴리''(Lily of Killarney, 1934) - 오코너 부인
  • ''아이리시 하츠''(Irish Hearts, 1934) - 고가르티 부인
  • ''레이지본스''(Lazybones, 1935) - 브리짓
  • ''페그 오브 올드 드러리''(Peg of Old Drury, 1935) - 배에 탄 아일랜드 여성 (출연 미상)
  • ''제3층 백의 몰락''(The Passing of the Third Floor Back, 1935) - 드 훌리 부인
  • ''크라임 언리미티드''(Crime Unlimited, 1935) - 보석 도둑 (출연 미상)
  • ''라이더스 투 더 씨''(Riders to the Sea, 1936, 단편) - 모리아
  • ''포트 럭''(Pot Luck, 1936) - 켈리 부인
  • ''잇츠 러브 어게인''(It's Love Again, 1936) - 홉킨스 부인
  • ''서던 로지스''(Southern Roses, 1936) - 플로렌스 양
  • ''사보타지''(Sabotage, 1936)
  • ''캐슬린 매버니''(Kathleen Mavourneen, 1937) - 메리 앨런 오드와이어
  • ''폭풍 속으로''(Storm In A Teacup, 1937) - 호노리아 헤가티
  • ''더 스카이즈 더 리미트''(The Sky's the Limit, 1938) - 오레일리 부인
  • ''런던데리 에어''(The Londonderry Air, 1938) - 라퍼티 미망인
  • ''온 더 나이트 오브 더 파이어''(On the Night of the Fire, 1939) - 청소부
  • ''댓 해밀턴 우먼''(That Hamilton Woman, 1941) - 캐도건-리옹 부인
  • ''지킬 박사와 하이드''(Dr. Jekyll and Mr. Hyde, 1941) - 히긴스 부인
  • ''리디아''(Lydia, 1941) - 메리
  •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How Green Was My Valley, 1941) - 모건 부인
  • ''록시 하트''(Roxie Hart, 1942) - 모턴 부인
  • ''디스 어보브 올''(This Above All, 1942) - 웨이트리스
  • ''잇 해픈드 인 플랫부쉬''(It Happened in Flatbush, 1942) - '맥' 맥보이 부인
  • ''더 라이트 오브 하트''(The Light of Heart, 1942)
  • ''더 워 어게인스트 미세스 헤들리''(The War Against Mrs. Hadley, 1942) - 마이클 피츠패트릭 부인
  • ''라이프 비긴스 앳 에이트-서티''(Life Begins at Eight-Thirty, 1942) - 앨마 로시안, 로버트의 이모
  • ''시티 위드아웃 멘''(City Without Men, 1943) - 마리아 바턴 부인
  • ''영원과 하루''(Forever and a Day, 1943) - 요리사 (1917) (삭제된 장면)
  • ''제인 에어''(Jane Eyre, 1943) - 베시
  • ''더 로저''(The Lodger, 1944) - 엘렌 본팅
  • ''투 월드''(Between Two Worlds, 1944) - 미지트 부인
  • ''더 키스 오브 더 킹덤''(The Keys of the Kingdom, 1944) - 마사 수녀
  • ''엉클 해리의 이상한 사건''(The Strange Affair of Uncle Harry, 1945) - 노나
  • ''키티''(Kitty, 1945) - 늙은 멕
  • ''더 스파이럴 스테어케이스''(The Spiral Staircase, 1946) - 바커 간호사
  • ''클루니 브라운''(Cluny Brown, 1946) - 메일 부인
  • ''더 패뷸러스 도르시스''(The Fabulous Dorseys, 1947) - 도르시 부인
  • ''아이비''(Ivy, 1947) - 마사 헌틀리
  • ''마더 워어 타이트''(Mother Wore Tights, 1947) - 맥킨리 할머니
  • ''엘렉트라가 슬픔을''(Mourning Becomes Electra, 1947) - 아담 브란트의 하숙집 주인
  • ''마이 와일드 아이리시 로즈''(My Wild Irish Rose, 1947) - 브레넌 부인
  • ''맨 프롬 텍사스''(Man from Texas, 1948) - 벨 이모
  • ''비너스의 키스''(One Touch of Venus, 1948) - 하숙집 주인
  • ''더 걸 프롬 맨해튼''(The Girl from Manhattan, 1948) - 빌러 부인
  • ''피고인''(The Accused, 1949) - 코너 부인
  • ''래시에게 도전''(Challenge to Lassie, 1949) - 맥팔랜드 부인
  • ''열두명의 웬수들''(Cheaper by the Dozen, 1950) - 모나한 부인
  • ''시에라''(Sierra, 1950) - 조나스 부인 (마지막 영화 출연작)

3. 3. 1. 연극

3. 3. 2. 영화


  • 협박 (1929년)
  • 주노와 공작 (1930년)
  • 게으름뱅이 (1935년)
  • 사보타주 (1936년)
  • 찻잔 속의 폭풍 (1937년)
  •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 (1941년)
  • 해밀턴 부인 (1941년) - 캐도건-리온 부인 역
  •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 (1941년)
  • 디스 오보브 올 (1942년)
  • 록시 하트 (1942년)
  • 언제나 영원히 (1943년)
  • 제인 에어 (1944년) - 베시 역
  • 왕국의 열쇠 (1944년)
  • 더 로저 (1944년)
  • 키티 (1945년)
  • 클루니 브라운 (1946년) - 메일 부인 역
  • 나선 계단 (1946년)
  • 모닝 비컴 일렉트라 (1947년)
  • 마더 워 타이츠 (1947년)
  • 마이 와일드 아이리시 로즈 (1947년)
  • 더 패블러스 도르시스 (1947년)
  • 원 터치 오브 비너스 (1948년)
  • 에딘버러시의 영웅 (1949년)
  • ''저스트 페기''(Just Peggy, 1918) - 페기
  • ''블랙메일''(Blackmail, 1929) - 화이트 부인
  • ''토 왓 레드 헬''(To What Red Hell, 1929)
  • ''주노 앤 더 페이콕''(Juno and the Paycock, 1930) - 보일 부인 ('주노')
  • ''더 월드, 더 플레시, 더 데블''(The World, the Flesh, the Devil, 1932) - 엠마 스탠저
  • ''더 포추네이트 풀''(The Fortunate Fool, 1933) - 로즈
  • ''킬라니의 릴리''(Lily of Killarney, 1934) - 오코너 부인
  • ''아이리시 하츠''(Irish Hearts, 1934) - 고가르티 부인
  • ''레이지본스''(Lazybones, 1935) - 브리짓
  • ''페그 오브 올드 드러리''(Peg of Old Drury, 1935) - 배에 탄 아일랜드 여성 (출연 미상)
  • ''제3층 백의 몰락''(The Passing of the Third Floor Back, 1935) - 드 훌리 부인
  • ''크라임 언리미티드''(Crime Unlimited, 1935) - 보석 도둑 (출연 미상)
  • ''라이더스 투 더 씨''(Riders to the Sea, 1936, 단편) - 모리아
  • ''포트 럭''(Pot Luck, 1936) - 켈리 부인
  • ''잇츠 러브 어게인''(It's Love Again, 1936) - 홉킨스 부인
  • ''서던 로지스''(Southern Roses, 1936) - 플로렌스 양
  • ''사보타지''(Sabotage, 1936)
  • ''캐슬린 매버니''(Kathleen Mavourneen, 1937) - 메리 앨런 오드와이어
  • ''폭풍 속으로''(Storm In A Teacup, 1937) - 호노리아 헤가티
  • ''더 스카이즈 더 리미트''(The Sky's the Limit, 1938) - 오레일리 부인
  • ''런던데리 에어''(The Londonderry Air, 1938) - 라퍼티 미망인
  • ''온 더 나이트 오브 더 파이어''(On the Night of the Fire, 1939) - 청소부
  • ''댓 해밀턴 우먼''(That Hamilton Woman, 1941) - 캐도건-리옹 부인
  • ''지킬 박사와 하이드''(Dr. Jekyll and Mr. Hyde, 1941) - 히긴스 부인
  • ''리디아''(Lydia, 1941) - 메리
  •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How Green Was My Valley, 1941) - 모건 부인
  • ''록시 하트''(Roxie Hart, 1942) - 모턴 부인
  • ''디스 어보브 올''(This Above All, 1942) - 웨이트리스
  • ''잇 해픈드 인 플랫부쉬''(It Happened in Flatbush, 1942) - '맥' 맥보이 부인
  • ''더 라이트 오브 하트''(The Light of Heart, 1942)
  • ''더 워 어게인스트 미세스 헤들리''(The War Against Mrs. Hadley, 1942) - 마이클 피츠패트릭 부인
  • ''라이프 비긴스 앳 에이트-서티''(Life Begins at Eight-Thirty, 1942) - 앨마 로시안, 로버트의 이모
  • ''시티 위드아웃 멘''(City Without Men, 1943) - 마리아 바턴 부인
  • ''영원과 하루''(Forever and a Day, 1943) - 요리사 (1917) (삭제된 장면)
  • ''제인 에어''(Jane Eyre, 1943) - 베시
  • ''더 로저''(The Lodger, 1944) - 엘렌 본팅
  • ''투 월드''(Between Two Worlds, 1944) - 미지트 부인
  • ''더 키스 오브 더 킹덤''(The Keys of the Kingdom, 1944) - 마사 수녀
  • ''엉클 해리의 이상한 사건''(The Strange Affair of Uncle Harry, 1945) - 노나
  • ''키티''(Kitty, 1945) - 늙은 멕
  • ''더 스파이럴 스테어케이스''(The Spiral Staircase, 1946) - 바커 간호사
  • ''클루니 브라운''(Cluny Brown, 1946) - 메일 부인
  • ''더 패뷸러스 도르시스''(The Fabulous Dorseys, 1947) - 도르시 부인
  • ''아이비''(Ivy, 1947) - 마사 헌틀리
  • ''마더 워어 타이트''(Mother Wore Tights, 1947) - 맥킨리 할머니
  • ''엘렉트라가 슬픔을''(Mourning Becomes Electra, 1947) - 아담 브란트의 하숙집 주인
  • ''마이 와일드 아이리시 로즈''(My Wild Irish Rose, 1947) - 브레넌 부인
  • ''맨 프롬 텍사스''(Man from Texas, 1948) - 벨 이모
  • ''비너스의 키스''(One Touch of Venus, 1948) - 하숙집 주인
  • ''더 걸 프롬 맨해튼''(The Girl from Manhattan, 1948) - 빌러 부인
  • ''피고인''(The Accused, 1949) - 코너 부인
  • ''래시에게 도전''(Challenge to Lassie, 1949) - 맥팔랜드 부인
  • ''열두명의 웬수들''(Cheaper by the Dozen, 1950) - 모나한 부인
  • ''시에라''(Sierra, 1950) - 조나스 부인 (마지막 영화 출연작)

4. 사생활

1916년 9월, 올굿은 호주 멜버른에서 공연을 하던 중, 그녀의 공동 출연자였던 제럴드 헨슨과 결혼했다.[9] 1918년 1월, 그들은 메리라는 딸을 낳았지만, 딸은 하루 만에 사망했다. 그해 11월, 스페인 독감이 헨슨의 생명을 앗아갔다.[9]

올굿은 1940년 할리우드에 정착했으며, 1945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10][11]

5. 사망

1950년 9월 13일, 올굿은 69세의 나이로 캘리포니아 우드랜드 힐스 자택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녀는 컬버 시티의 홀리 크로스 묘지에 묻혔다.

6. 한국과의 관계

7. 외부 링크

참조

[1] 웹사이트 Baptismal record https://churchrecord[...] 2022-04-22
[2] 서적 Letters to Molly: John Millington Synge to Maire O'Neill, 1906-1909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04-22
[3] 문서 "Who Was Who in the Theatre: 1912-1976"
[4] 웹사이트 Catholic baptismal record confirming date of birth as 30 October 1880 https://churchrecord[...] 2022-04-22
[5] 서적 A dictionary of Irish biography Gill & Macmillan 1998
[6] 서적 Travelling Players The Story of the Arts League of Service Frederick Muller
[7] 서적 The Abbey Theater: interviews and recollections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8] 서적 The Abbey, Ireland's National Theatre, 1904-1978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Ten Dublin Women 1991
[10] 서적 Theatre Business : The Correspondence of the First Abbey Theatre Directors: William Butler Yeats, Lady Gregory, and J.M. Synge https://archive.org/[...]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82
[11] 웹사이트 California, Southern District Court (Central) Naturalization Index, 1915-1976 https://familysearch[...] 2018-03-11
[12] 뉴스 Big Films in Review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19-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